[프로그래머스] 😔 실패율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프로그래머스] 😔 실패율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문제 설명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 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stages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stages에는 1 이상 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 나의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as mset import functools def compare(ob1, ob2): return ob2[1] - ob1[1] def solution(N, stages): answer = [] failureRateLst = [] stageSet = mset(stages) for stage in range(0, N): tryer = 0 finisher = 0 for key in stageSet.keys(): if key-1 == stage: tryer += stageSet[key] elif key-1 > stage: finisher += stageSet[key] if (tryer+finisher) != 0: failureRateLst.append([stage+1, tryer/(tryer+finisher)]) else: failureRateLst.append([stage+1, 0]) print(failureRateLst) answer = [x[0] for x in sorted(failureRateLst, key=functools.cmp_to_key(compare))] return answer
collections
를 이용해 stages
의 스테이지별 tryer(도전중인 인원)
, finisher(도전을 마친 인원)
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스테이지별 실패율을 구합니다. 그 뒤 functools
를 이용하여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마무리합니다.
👀 눈여겨 볼만한 풀이
def solution(N, stages): result = {} denominator = len(stages) for stage in range(1, N+1): if denominator != 0: count = stages.count(stage) result[stage] = count / denominator denominator -= count else: result[stage] = 0 return 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True)
내가 내장 라이브러리 collections.Counter
를 사용하여 tryer(도전자)
를 구한 부분을 count
라는 list
의 method
로 해결하였고, 특히 finisher(도전을 마친 인원)
을 구하는 데 전체 stages
의 길이에서 빼가는 방식으로 구현한 것이 눈여겨볼만했습니다. functools
를 이용하는 부분도 lambda
를 이용하여 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 = True)
로 간단하게 표현하였습니다. 이는 result
라는 딕셔너리 자료형을 value
의 내림차순 기준으로 key
를 정렬하는 역할을 합니다. sorted(정렬하려는 딕셔너리, key=lambda 기준이 되는 키값 : 비교값, 리버스 여부)
참고자료
'Algorithm > Problem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무지의 먹방 라이브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0) | 2019.02.07 |
---|---|
[프로그래머스] 🔑 후보키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0) | 2019.02.06 |
[프로그래머스] 🙋♂️ 오픈 채팅방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0) | 2019.02.05 |
[프로그래머스] 🧶 네트워크 / python (0) | 2019.02.05 |
[프로그래머스] 🤳 방금 그 곡 - [3차] 2018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0) | 2019.02.0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프로그래머스] 🐰 무지의 먹방 라이브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프로그래머스] 🐰 무지의 먹방 라이브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2019.02.07[프로그래머스] 🐰 무지의 먹방 라이브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문제 설명 무지의 먹방 라이브 * 효율성 테스트에 부분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평소 식욕이 왕성한 무지는 자신의 재능을 뽐내고 싶어 졌고 고민 끝에 카카오 TV 라이브로 방송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냥 먹방을 하면 다른 방송과 차별성이 없기 때문에 무지는 아래와 같이 독특한 방식을 생각해냈다. 회전판에 먹어야 할 N 개의 음식이 있다. 각 음식에는 1부터 N 까지 번호가 붙어있으며, 각 음식을 섭취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무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음식을 섭취한다. 무지는 1번 음식부터 먹기 시작하며, 회전판은 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음식을 무지 앞으로 가져다… -
[프로그래머스] 🔑 후보키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프로그래머스] 🔑 후보키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2019.02.06[프로그래머스] 🔑 후보키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문제 설명 프렌즈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조교인 제이지는 네오 학과장님의 지시로, 학생들의 인적사항을 정리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그의 학부 시절 프로그래밍 경험을 되살려, 모든 인적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넣기로 하였고, 이를 위해 정리를 하던 중에 후보키(Candidate Key)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게 되었다. 후보키에 대한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던 제이지는,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관련 서적을 확인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하였다.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릴레이션(Relation)의 튜플(Tuple)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Attribute) 또는 속성… -
[프로그래머스] 🙋♂️ 오픈 채팅방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프로그래머스] 🙋♂️ 오픈 채팅방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Python / KAKAO BLIND RECRUITMENT
2019.02.05 -
[프로그래머스] 🧶 네트워크 / python
[프로그래머스] 🧶 네트워크 / python
2019.02.05🧶 네트워크 - 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 / python 문제 설명네트워크란 컴퓨터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A와 컴퓨터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컴퓨터 B와 컴퓨터 C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컴퓨터 A와 컴퓨터 C도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A, B, C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의 개수 n, 연결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comput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네트워크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시오.제한사항컴퓨터의 개수 n은 1 이상 2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각 컴퓨터는 0부터 n-1인 정수로 표현합니다.i…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