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프로그래밍 관련 유튜브 추천

과거에 지식을 얻는 방법은 책이었다, 그러다 인터넷의 등장으로 지식인 같은 서비스가 등장하고, 2018년 이제 사람들은 지식을 얻고, 궁금한 것을 찾기 위해 포털 사이트가 아닌 유튜브에 검색을 한다. 시각과 청각을 모두 자극하는 영상 서비스가 더 익숙해진 것이다.
프로그래밍 기술을 배우는 루트도 책에서 구글링 그리고 이제 유튜브로 바뀌었다. 필자도 처음 웹이라는 산을 오르기 위해 많은 도움을 얻은 조력자가 바로 유튜브이다. 내가 최근까지 본 프로그래밍 유튜브 채널 중에 괜찮은 채널들을 몇 개 간추려보았다.
포프TV

아마도 내가 처음으로 구독한 프로그래밍 유튜브 채널이 아닐까 싶다. 컴퓨터 공학과 신입생 시절 뭔가 다 막막했던 상황에서 당시 거의 유일한 유튜브 채널이었다. 프로그래밍 분야 내에서도 굉장히 광범위하게 알고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고, 길이도 그렇게 길지 않아서 잠깐 잠깐 트렌트 확인 하기에 좋았다. 신입 프로그래머들에 대한 조언도 아낌없이 하기 때문에 내 미래 프로그래머로서의 모습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보기에 가장 좋은 유튜브 채널이 아닐까 싶다.
👍추천 영상
노마드 코더 Nomad Coder

어찌보면 내가 웹을 등반하면서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채널이고, 현재도 장학생으로 번역을 하면서 도움을 받고 있다. 대부분의 강의가 Nicolas의 강의로 이루어져 있고, Lynn님의 VLOG나, 개발자 인터뷰, 기타 개발 관련 이슈들을 다룬다. HTML, CSS, JavaScript부터 React, Django, GraphQL까지 프론트 백을 넘나들며 풀스택으로 웹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 있다. 자체 사이트인 노마드 코더도 같이 이용하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 추천 영상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에 TOC 추가하기 (4) | 2021.09.30 |
---|---|
URI와 URL (0) | 2021.09.29 |
네비게이션 영역 GNB, LNB, SNB, FNB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9.09 |
Express와 Koa를 비교해보자 (3) | 2020.09.15 |
내가 쓰고 싶은 데이터 오픈 API에서 찾아보자! (1) | 2020.02.16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URI와 URL
URI와 URL
2021.09.29이전까지는 URL만 알고 있다가, 학교에서 웹 프로그래밍 수업을 들었을때 URI라는 것을 처음 알게되었다. 그렇다고 찾아본 건 아니고, 현재까지도 일을 하면서 매번 URI, URL 구분없이 사용하고 있다. 구분없이 사용한다고 큰 문제는 생기지 않지만, 개발자는 명확한 정의를 아는 직업 아닌가? 이 기회에 URI와 URL의 정의와 용도를 통해 둘의 차이를 알아보자. URI URI는 특정 자원(Resource)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difier)를 의미한다. 웹 상에서 논리적/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고유한 문자열의 시퀀스이다. URI의 하위 개념으로는 URL과 URN이 있다. URL URL은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웹사이트 주소이다. 통합 자원 지시자(… -
네비게이션 영역 GNB, LNB, SNB, FNB에 대해 알아보자
네비게이션 영역 GNB, LNB, SNB, FNB에 대해 알아보자
2021.09.09👋 들어가며 웹사이트 개발, 기획 등을 하다보면 GNB, LNB 등의 단어를 듣게 된다. 필자도 실무를 하면서 알게되었고, 항상 들을때마다 헷갈려서 이번 기회에 한 번 정리해보려한다. 네비게이션 영역? 네비게이션 영역은 이름처럼 네비게이션 즉 특정 페이지 이동을 위해 필요한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영역들은 모든 페이지에서 항상 고정된 영역을 차지하는 특징을 가지게된다. GNB(Global Navigation Bar) 사이트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최상위 공통 네비게이션 포함되는 콘텐츠 사이트 로고 - 홈페이지 링크 메인 메뉴 - 대분류 메뉴라고도 하며, 주요 페이지 링크 버튼 역할을 하거나 호버시 서브 메뉴를 볼 수 있는 버튼 역할을 한다. 서브 메뉴가 있는 경우 클릭시 메인 서브 메뉴로 가는… -
Express와 Koa를 비교해보자
Express와 Koa를 비교해보자
2020.09.15비교 기준 인기(GitHub 스타 수, npm 다운로드 수) 설치 기초 Hello World 앱 장점 단점 성능 보안 커뮤니티 참여 Express GitHub 스타 수: +50,100 npm 주간 다운로드 수: +12MM Express는 최소한의 유연한 웹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탄탄한 특징들을 제공하는 Node.js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서버와 라우트를 다루는 걸 도와주는 미들웨어처럼 작동합니다. 설치 express를 설치하기 위해서 Node.js가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만약 express를 특정 위치에 설치하고자한다면 $ npm install express --save 잠깐 설치하고 dependencies 목록에 추가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 npm install express --no… -
내가 쓰고 싶은 데이터 오픈 API에서 찾아보자!
내가 쓰고 싶은 데이터 오픈 API에서 찾아보자!
2020.02.16👋 들어가며 최근 오픈 API를 정리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public-apis-korea를 만들고 있다. 기존에 있는 public-apis를 번역만 하자는 생각이었는데, 제대로 정리된 곳도 없는 것 같고, 국내에서도 네이버나 카카오등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가 많아지면서 좀 더 욕심내보기로 했다. 아무튼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부한 API가 무엇이지 그리고 여러 오픈 API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말한다. 즉, 어플리캐이션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API는 사람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아닌 프로그래밍을…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