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며 나는 취업을 준비하면서, 네이버 핵데이 인턴 이후 채용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면서 개발자용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기획해왔다. 컴퓨터 공학과 대학생들은 대부분 취업시기가 다가오는 3~4학년때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데, 막상 포트폴리오를 만들려면 왜 만들어야하는 지 무슨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 지,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 지 막막하고 참고할만한 자료도 충분치 않다. 작은 경험이지만 내가 개발자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면서 고민했던 것들에 대해 적어보려한다. 🗂 당신이 개발자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하는 이유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하기 전에 우선 포트폴리오의 목적에 대해 짚고 넘어가보자. 포트폴리오의 목적은 단순하다. 내가 이 분야를 얼마나 잘하고 얼마나 열정을 가지고 있는 지 보여..
👋 들어가며 최근 오픈 API를 정리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public-apis-korea를 만들고 있다. 기존에 있는 public-apis를 번역만 하자는 생각이었는데, 제대로 정리된 곳도 없는 것 같고, 국내에서도 네이버나 카카오등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가 많아지면서 좀 더 욕심내보기로 했다. 아무튼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부한 API가 무엇이지 그리고 여러 오픈 API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말한다. 즉, 어플리캐이션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API는 사람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아닌 프로그래밍을..
👋 들어가며 웹 개발 관련 다양한 강의들이 있지만 가장 매력적인 강의는 누가 뭐래도 클론 코딩 강의가 아닐까싶다. 내가 즐겨 쓰는 서비스를 내 손으로 만들어 볼 수 있다는 점은 강의에 대한 흥미를 돋우기 충분하다. 하지만 그 흥미에 비해 결과물인 클론 코딩을 제대로 활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나름 클론 코딩 강의도 많이 듣고, 시행착오도 많이 겪으면서 결국에는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써보고자 한다. 🤷♂️ 클론 코딩이란? 말 그대로 클론하는 코딩으로, 주로 웹 개발에서 쓰이는 용어이며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에어비앤비, 유튜브, 넷플릭스 등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나 웹사이트를 밑바닥부터 만들어가는 강의를 의미한다. 이후 이야기하는 클론 코딩은 클론 코딩 강의를 의미한다..
해당 글은 코딩애플 - 구글링 잘하는 법 6개 (네이버쓰셈 ㅅㄱ) 을 보고 해당 영상 내용을 정리 및 제 생각을 추가한 글입니다. 코딩애플님께서도 재미있게 잘 소개해주셨으니 영상을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온전히 구글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웹사이트를 통한 검색"이 좀 더 명확하지만, 글에서는 좀 더 편한 용어인 "구글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려합니다. 🤔 구글링은 왜하는 걸까? 우리가 개발 초보인 경우, 심지어는 고수일지라도 구글링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특히 개발 분야는 특정 기술에 대해 모든 것을 알 수 없고, 정확히 코드화되어있기 때문에 생각을 통해 뇌피셜로 결론을 낼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 구글링의 차이 = 개발 실력 성장 속도의 차이 하지만 같은 구글링을 할 지라도..
⏳ 브라우저 연대기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사용자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인터넷 사용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글쓴이는 많은 브라우저들을 접해왔다. 시작은 누구나 그렇듯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였다. 그러다가 한 때 internet explorer is EVIL!이라는 사이트도 나올 정도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대한 발발이 크던 때에 나도 다른 브라우저를 찾아나섰다. 그렇게 사용한 것이 파이어폭스로 속도와 확장프로그램의 신세계를 맛보고 몇 년 쓰다가, 그 이후에는 더 많은 확장 프로그램에 이끌려 크롬을 선택하고 작년까지 언제나와 같이 내가 사용하는 브라우저는 크롬이였다. 크롬을 사용하면서 웨일이 나왔다는 사실은 알았지만, 한국에서 브라우저를 왜 만들까라는 생각부터 다른 거대 IT 공..
👋 들어가며2024년도 이제 며칠 안 남았다. 작년처럼 이번에도 해가 바뀌기전에 시간을 내서 회고 글을 써보고자 한다.블로그이 블로그도 올 해 미안하게도 많이 방치가 되었다. 작성한 글은 1개 그나마도 단순한 팁 글이다. 후술하겠지만, 일이 바쁘고 결혼을 하고 아내와 지내는 시간들이 행복하다보니 혼자서 무언가를 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그마저도 혼자서했을 때 재미있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블로그의 우선순위는 뒤로 계속 밀려나게 되었다. 이번에 회고를 작성하기 전에 방문자를 보니 거의 1/5 수준으로 줄어들고, 열심히 블로그를 가꾸던 열정은 많이 사라진 것 같아서 조금 아쉽기도했다.개인 도메인을 사서 gatsby 같은 걸로 블로그나 만들어서 회고 글을 올릴까 하다가 빠르게 포기하고 티스토리에 다시 글을 ..
node.js 버전이 다른 프로젝트를 왔다갔다 하면서 매번 nvm use를 해서 노드 버전을 바꿔왔는데, 아래의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nvmrc가 있는 프로젝트라면 자동으로 nvm use를 해주고, 해당 버전이 없다면 nvm install까지 해준다. .zsh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가능하고 주석에 나와있듯이 nvm 초기화 이후에 해당 코드를 넣으면 된다. # place this after nvm initialization! autoload -U add-zsh-hook load-nvmrc() { [[ -a .nvmrc ]] || return local node_version="$(nvm version)" local nvmrc_path="$(nvm_find_nvmrc)" if [ -n "$nvmrc_path..
👋 들어가며 2023년이 이제 얼마 안남았다. 작년에는 해가 지나고 나서야 회고글을 작성했는데, 아내가 회고를 작성하는 사이에 나도 짬이 나서 회고를 작성해보려한다. 아내는 인스타에 회고 포스팅을 하지만, 나는 늘 블로그에 올리던 회고를 올리는 블로그에 올리고 있는 중이다. 🛍️ 쇼핑 팀 이동 팀 이동은 작년에 했지만, 제대로 일을 한 건 올 해부터였다. 주된 일은 일본 쪽 쇼핑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어쩌다보니 네이버 쇼핑 MY 영역의 개편을 담당하게되었다. 새로운 도메인에 적응도 하면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맨 바닥부터 해야하는 작업을 해야해서 서비스 출시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하지만, 좋은 동료분들과 협업을 통해 문제없이 잘 출시했고, 현재도 잘 서비스되고 있다. (개편된 네이버 쇼핑 MY를 보고 ..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인 미드 저니를 써보았다. 해당 서비스가 기존에 존재했던 건 알고 있었지만 사용하지 않았는데, 요즘 ChatGPT를 사용하다가 알게된 AIPRM for ChatGPT 이라는 확장 프로그램에서 키워드를 넣으면 미드저니용 프롬프트를 짜주는 프롬프트(Midjourney Prompt Generator)를 제공해서 궁금증에 한 번 써보았다. 아래 키워드를 입력하기만 하면 끝 You will now act as a prompt generator for a generative AI called "Midjourney". Midjourney AI generates images based on given prompts. I will provide a concept and you will provid..
👋 들어가며 2022년은 이미 지나갔다. 하지만 그냥 쓰는거다 회고니까. 그리고 2022년에 글을 너무 안써서 2022년은 글을 안 쓴 해로 정하고, 2023년에 힘을 더 주기 위해 2023년에 쓴다는 변명과 함께 시작해보자. 👨💻 출근 어게인 다시 회사를 출근하게 되었다. 2021년 회고에서는 재택 어게인을 이야기했지만, 2022년 중순부터 회사에서 의해 3일 출근 2일 재택의 하이브리드 근무제와 완전 재택 중에 고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재택의 뽕맛에 취해있던 나는 당연히 재택을 선택하려했지만, 주변의 만류로 결국 하이브리드 근무제를 선택했다. 재택에 익숙해져서 회사와 가까운 거리임에도 3일 출근이 고통스러웠지만, 동료들을 직접 만나서 이야기하고 일하는 것이 어느정도 필요하다고는 느껴졌다. 오랫..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과거에 작성했던 당신의 Github을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는 방법들 ✨을 작성했을 당시에는 없었던 영역이자, 어떻게 보면 Github 프로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이야기와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당신의 Github을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는 방법들 ✨ 👋 들어가며 개발자에게 Github이란 어떤 공간일까? 나의 코드를 공유하는 저장소이자, 남들의 코드를 쉽게 다운로드 받고 쓸 수 있는 마켓이면서, 멋진 개발자들을 볼 수 있는 만남의 공간이다. geonlee.tistory.com 우리가 보는 프로필 영역은 다음과 같다. 가장 대표적인 왼쪽 프로필 영역에는 프로필 이미지부터, 닉네임, 자기소개(bio), 직장등의 정보를 보여주고, 오른쪽..
들어가며 티스토리에 글을 어떻게 작성할 수 있을까요? 에디터에 들어가서 글을 작성하는게 일반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면 에디터를 통하지 않고도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글을 통해서 파이썬(Python)에서 티스토리(Tistory) API를 이용하여 티스토리에 글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브라우저와 티스토리 API만을 이용하여 내 블로그의 글 목록을 가져오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티스토리 API 사용을 위한 앱 등록 우선 처음 단계는 티스토리 API 사용을 위한 나의 앱을 등록하는 과정입니다. 티스토리 API는 앱(App)이라는 단위로 관리되며, 앱에는 해당 앱이 사용되는 서비스의 정보들이 포함되게 ..
Github Actions란? Github에서 제공하는 저장소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Workflow를 자동화, 커스터마이징,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 Jenkins를 이용했던 CI/CD를 포함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을 검색, 생성 및 공유 가능 Action들을 결합해서 맞춤형 Workflow 생성 가능 기존에 Jenkins, Lambda를 이용했던 자동화 작업들을 OSS로 통합 가능 간단히하자면 Workflow 툴 Build, Test, Deploy, Release Drafter, Labeler ... 자세한 설명은 역시 Github Actions 공식문서 참고 개념 Github Action은 다음과 같은 개념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Workflow 최상위 개념, yaml로 작성하는 파일의 단위..
👋 들어가며 2021년이 이제 정말 얼마 안남았다. 요 몇 달간 블로그 글을 안 올리고 있었는데, 한 해도 끝나가는 겸 뭐라도 써야지 하는 심정으로 올 해도 2021년 개발자 회고를 해보려한다. 🧑💻 재택 어게인 2020년 코로나가 터진 이후 2020년에는 회사도 직원들도 이전에 겪어보지 못한 상황에 우왕좌왕하며 재택과 출근을 번갈아했었다. 그러다 2020년 후반부터 회사는 전면 재택을 선언하였고, 계속되는 재택 연장으로 2021년 동안 풀로 재택으로 근무하게 되었다. 그래서 새로운 장비를 구입해서 가져오거나 특별한 일이 있지 않은 이상 회사를 가지 않아서 부서 층수도 까먹고 내 자리가 어디인지도 까먹었을 지경이다... 내년 초까지는 계속 이러한 재택 기조가 이어질 것 같다. 1년 넘게 집에서만 일을 ..